관세청이 컨테이너 구조공간에 숨긴 물품을 인공지능(AI)으로 탐지하는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관세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배재대학교에서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세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관세기술 연구개발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추진된 1.0 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2028년까지 총 190억원을 투입해 4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관세청은 연구단 공모에 24개 컨소시엄이 참여해 평균 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최종 선정된 연구단 가운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2028년까지 총 84억원을 들여 컨테이너 구조공간 은닉물품 탐지 기술을 개발한다. 연구단은 컨테이너 구조 특징을 분석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탐지 AI 알고리즘을 개발해 은닉 물품을 적발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찰대학 산학협력단은 '동시 다종 마약 신속검사 키트'를, 한국과학기술원은 '엑스레이(X-ray) 영상데이터 표준화 기술'을, 한국화학연구원은 '불법마약류 탐지 후각지능 시스템'을 각각 개발할 예정이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검증된 연구단과 함께하는 만큼 관세행정의 AI 혁신을 앞당기겠다"며 "연구 성과가 안전하고 신뢰받는 무역환경 조성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과학기술과 행정 현장 간 연계와 협업을 통해 첨단기술 성과가 국민 생활과 안전에 직접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