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과중한 상속세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었다. 대통령이 상속세를 낮추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고, 여야 정치권도 상속세 개편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됐다.
25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세법개정안 가운데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상속세 개편 방향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첫째는 상속세 세율 인하다. 최저세율 구간을 1억원 이하 10%에서 2억원 이하 10%로 1억원을 상향했다. 또한 최고 세율 50%를 40%로 10%포인트 낮췄다. 결과적으로 상속세 증여세 세율은 2억원 이하 10%, 5억원 이하 20%, 10억원 이하 30%, 10억원 초과는 40%로 하겠다는 것이다.
둘째는 인적공제 중 자녀공제액을 1인당 5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10배 인상했다. 기초공제 2억원과 일괄공제 5억원, 배우자공제 등 다른 공제는 종전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일괄공제 5억원]과 [기초공제 2억원+자녀공제 금액] 중 큰 금액을 공제한다.
일반적으로 공제액을 늘리면 중하위 계층의 과세대상자가 수혜 폭이 크고, 세율을 낮추면 중상위 계층의 과세대상자가 수혜 폭이 커진다. 정부안은 두 계층에게 어느 정도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를 한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일괄공제를 5억원 정도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자녀공제를 10배나 올린 것은 의외다. 출산율을 조금이라도 높이려는 정책목적에서 과감하게 도입된 방안이다.
다소 아쉬운 것은 배우자공제액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았는데 반영되지 않은 점이다. 송언석 의원(국민의힘)이 발의한 개정안에는 배우자공제액을 5억원을 상향시키자고 한다. 여야가 논의하는 과정에서 변경될 수도 있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기업들에서 가장 관심이 컸던 대주주 할증과세 문제인데 이 부분도 폐지하는 것으로 세부 방안이 나왔다.
기업에 대해 할증과세 제도를 두고 있는 국가가 미국과 독일 등 일부 국가에 한정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최고세율이 50%인데 여기에 20%가 할증과세 되면 가장 높은 일본의 최고세율(55%)보다도 더 높아져 상속세부담이 최고수준에 이르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할증과세 폐지안이 들어간 것으로 이해된다.
과세체계를 유산세(피상속인이 남긴 유산을 기준으로 과세) 과세체계에서 유산취득세(상속인이 각자 받은 상속재산을 기준으로 과세) 과세체계로 전환하는 문제는 제도 시행에 장애요인들이 많아서 당분간 시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상속세 개편안대로 개정될 경우 상속세 부담은 많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배우자가 있고 자녀가 3명이상인 경우 상속재산이 30억원 정도까지는 상속세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개정 전에는 상속세 4억원 수준).
상속재산이 60억원인 경우로서 배우자와 자녀 3명이 있는 경우 개정 전에는 상속세가 13억원 정도였는데 개정안에 따르면 7억5000만원으로 줄어든다. 반면, 배우자와 자녀가 1명인 경우 세 부담 감소액이 크지 않았다. 상속재산이 60억원까지는 상속세 감소액이 1억원에 지나지 않았다.
반면에 상속재산이 100억원이 넘을 경우 세율인하로 상속세 부담은 15% 이상 감소한다. 상속재산 200억원에 배우자와 자녀1명이 있는 경우 개정 전에는 상속세가 78억원인데 반해 개정안에 따르면 63억원으로 줄어든다.
이번 상속세 개편안에는 세수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상속세 과세인원이 가장 많은 20억~60억원 재산가들의 세부담을 줄여주는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배우자 공제를 다소 조정하고 현재 정부 개정안대로 통과되어 1차 개편안이 순조롭게 실행되기를 바란다.
☞안수남 세무사는?
세무사들이 가장 어려워한다는 양도소득세와 상속세 분야의 최고 권위자이며, 국내 최대 규모의 세무법인 다솔을 이끌고 있다. 고액자산가를 위한 증여플랜, 부동산 및 법인 컨설팅, 종중 및 토지보상 등에도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다솔세무TV에 다양한 절세 강연 영상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