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이 올해 우범자 추적, 수입신고서 심사 등 업무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다. AI를 통해 감시단속을 강화할뿐만 아니라 업무 효율성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관세청은 13일 관세행정 스마트 혁신을 강조한 '2024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국세청·통계청 등 정부기관이 잇따라 AI를 접목한 업무체계를 갖추고 있는 가운데, 관세청도 AI 활용범위를 넓혀 눈길을 끈다.
먼저, 올해부터는 특송화물로 반입되는 마약 등 우범화물도 AI가 단속한다. 이전까지는 일반수입화물과 여행자물품에 한해 AI 선별이 가능했지만, 특송화물을 통한 우범물품 반입이 많은 것을 고려해 선별 분야를 확대했다.

통관단계에서의 수입신고서도 AI가 심사한다. 저위험화물의 경우 간단하게 전자통관이 가능하지만, AI가 화물의 위험요소를 발견하면 서류심사와 현장검사를 거쳐야한다.
또한 입국심사대에 AI CCTV를 설치, 우범여행자가 입국심사대를 통과했을 때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한다.
헷갈리는 품목분류 추천이나 민원상담도 AI가 대신한다. 관세청은 올해 품목분류와 민원상담 등 현장업무에 생성형AI를 도입한다. 납세자는 생성형AI로 기존의 검색방식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품목분류를 할 수 있다.
고광효 관세청장은 "지난 10월 발족한 '스마트 혁신 추진단'을 중심으로 불합리하거나 불필요한 규제를 전면적으로 혁신해 경제활동의 자유를 확대할 것"이라며 "AI·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활용해 관세행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제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