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유튜브
  • 오디오클립
  • 검색

130조→10조…가상자산 신고액, 확 줄어든 까닭

  • 2024.12.19(목) 12:00

'2024년 4분기 국세통계' 살펴보니

거주자·내국법인 약 5000명, 이들이 올해 해외에 보유한 금융자산의 가치는 65조원에 달한다. 해외금융계좌 신고 의무자의 신고로 드러난 규모인데, 금액만 따져보면 1년 사이 무려 120조원 넘게 줄어든 것이었다. 

신고액 왜 줄었냐고요? "코인 가치 하락 탓"

현재 한 해 기준으로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해외 금융계좌 잔액 합계액이 매달 말일 중 어느 하루라도 5억원을 넘겼다면 관련 계좌정보를 국세청에 신고해야 하는 의무를 갖는다. 신고 기한은 매년 6월 한 달간이다. 

국세청이 19일 발표한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올해 해외금융계좌 신고인원은 4957명, 신고 금액은 64조9000억원이었다. 1년 전보다 인원은 8.5%(462명), 금액은 65.2%(121조5000억원)나 감소했다. 

해외금융계좌 신고 금액이 줄어든 데는 '가상자산'의 급격한 가격변동이 주원인으로 지목된다. 국세청 관계자는 "신고 금액이 5억원 기준인데, 가상자산 가치가 떨어지면서 신고인원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가상자산이 해외금융계좌 신고 대상에 포함된 건 지난해부터다. 당시 신고인원은 1432명, 금액은 무려 130조8000억원에 달했다. 이 조치로 해외금융계좌 신고는 최대 실적치를 보였다. 하지만 올해 가상자산의 신고 금액은 92%나 떨어진 10조4000억원에 그쳤다.

계좌 종류별로는 주식(23조6000억원)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예·적금(20조6000억원)이었다.

일각에선 가상자산 계좌의 신고가 줄어든 이유를, '신고 의무 회피' 때문 아니냐라는 말도 나온다. 국세청 관계자는 "신고검증과 세무조사로 신고 의무 위반자를 확인,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해외금융계좌를 신고하지 않은 인원은 711명으로, 이들에게 2408억원의 과태료를 매겼다.

꿈의 '억대 연봉자'는 몇 명일까?

억대 연봉을 받는 직장인들은 몇 명이나 됐을까. 지난해 귀속기준 근로소득세 연말정산을 신고한 근로자는 2085만명으로, 이 중 총급여 1억원을 넘긴 근로자는 139만1000명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약 7만명 늘어난 규모다.

이런 고소득자(1억원 초과)의 비율은 2020년 4.7%에서 2021년 5.6%, 2022년 6.4%, 2023년 6.7%로 매년 증가세가 뚜렷하다. 

작년 귀속 근로자의 1인당 평균 급여는 4332만원으로, 평균 결정세액은 428만원으로 나타났다. 결정세액이 있는 신고인원은 1396만명으로, 전체 신고인원의 67%였다.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