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하여 기자의 기사를 찾을 수 있습니다
김지헌 기자의 기사 모음
-
- 세금 더 낼라...연말정산 추가납부하는 직장인은?
- '13월의 월급'이라지만, 연말정산 시즌에 세금을 더 내는 납세자들도 있습니다. 국세청이 발표한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21년 귀속 연도 급여소득자는 총 1995만9148명이었는데요. 이 중 연...
-
김지헌 기자
·
2023.01.27(금) 17:00
-
- "올해는 전자세금계산서로 세금 좀 줄여볼까"
- 작년 12월 2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올해 적용될 세법 개정안이 통과됐습니다. 소득세와 법인세 등 여러 세목에 변화가 있을 예정이에요. 개정안을 하나씩 꼼꼼하게 살펴보면 사장님들에게만 적용되는 변화는 그렇게 크지 ...
-
김지헌 기자
·
2023.01.06(금) 14:33
-
- 부양가족공제의 모든 것
- 근로자는 가족을 부양한 만큼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받습니다. 근로자 본인을 포함해 배우자, 직계존속, 직계비속, 형제자매가 공제 대상입니다. 부양가족 요건을 갖추면 기본공제로 1인당 150만원을 소득공제받습니...
-
김지헌 기자
·
2023.01.26(목) 17:00
-
- 경우의 수로 본 인적공제 절세금액
- 인적공제는 연말정산에서 꼭 챙겨야 하는 사항입니다. 소득·연령 요건만 맞으면 대상자 1명당 150만원을 근로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해주죠. 납세자 본인에 대해서는 조건 없이 150만원 공제해 줍니다. 소득...
-
김지헌 기자
·
2023.01.20(금) 12:00
-
- 맥주와 소주에 부과되는 세금은
- 편의점에서 500ml 캔맥주를 사면 술에 부과되는 세금인 주세가 427.6원 부과됩니다. 교육 재정을 위한 교육세도 주세의 30%만큼 가격 안에 포함돼 있죠. 맥주의 가격과 상관없이 동일한 용량이라면 같은 값의 주세...
-
김지헌 기자
·
2023.01.17(화) 14:00
-
- 자동차세 연납할인은 왜 7%로 줄었을까
-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1년에 두 번 나누어 6월과 12월에 자동차세와 지방교육세(자동차세×30%)를 납부합니다. 예를 들어 배기량 2000cc의 차를 보유하고 있다면 자동차세로 40만원(2000...
-
김지헌 기자
·
2023.01.16(월) 17:00
-
- 커피·코코아가 사치품이던 시절도 있었다
- 1980년대에는 커피나 코코아를 사먹으면 부가가치세뿐 아니라 가격의 40%만큼 세금을 내야 했습니다. 이 세금은 특정한 물품과 장소에 대해 부과한다는 뜻에서 '특별'소비세라는 이름으로 1977년 7월 ...
-
김지헌 기자
·
2023.01.12(목) 17:00
-
- 연말정산 신경 쓸 필요 없는 직장인은
- 올해부터 연말정산 간소화에서 개인 정보 제공에 동의하면, 근로자가 자료를 다운받아 회사에 제출할 필요 없이 국세청에서 회사로 자료가 전달됩니다. 연말정산이 보다 간편해질 예정이지만 그래도 납세자 스스로 증명서류를 챙...
-
김지헌 기자
·
2023.01.12(목) 08:52
-
- 연말정산 자료, 회사에 꼭 제출해야 할까
- 올해도 어김없이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1월 15일부터 국세청이 제공하는 연말정산 공제 증명자료를 확인하고 신고서를 제출하면, 월급날에 환급액을 돌려받게 되는데요. 연말정산을 하기 전에 근본적인 의문이 들...
-
김지헌 기자
·
2023.01.06(금) 17:00
-
- [절세트렌드 2023]종부세 얼마나 줄어들까
- 세금을 최대한 아끼려면 트렌드를 잘 따라가야 합니다. 연말에 국회에서 바뀐 세법개정안과 정부가 발표한 새해 경제정책방향을 보면 실생활에서 절세할 수 있는 힌트가 숨겨져 있는데요. 2023년의 절세 트렌드를 키워드별로...
-
김지헌 기자
·
2023.01.05(목) 11:00
-
- [절세트렌드 2023]세입자의 연말정산 환급 예상액
- 세금을 최대한 아끼려면 트렌드를 잘 따라가야 합니다. 연말에 국회에서 바뀐 세법개정안과 정부가 발표한 새해 경제정책방향을 보면 실생활에서 절세할 수 있는 힌트가 숨겨져 있는데요. 2023년의 절세 트렌드를 키워드별로...
-
김지헌 기자
·
2023.01.04(수) 11:00
-
- 세금이 억울하면 '여기'에서 구제받자
- 내야 할 세금이 예상보다 부당하게 많거나, 심지어 위법이라고 여겨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국가에 과세권이 있듯이, 납세자들도 고지 받은 세금에 대해 불복할 수 있는 권리 구제 제도가 있습니다. 억울한 세금 돌려...
-
김지헌 기자
·
2022.12.30(금) 09:00
-
- 소득세 변천사 "그땐 그랬지"
- 우리나라 소득세는 이자·배당·사업·근로·연금·기타소득을 모두 합산해 종합소득세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 반면 퇴직·양도소득은 별도로 각각 세율...
-
김지헌 기자
·
2022.12.27(화) 12:00
-
- 세금을 내지 않고 살 수 있을까
- 우편물로만 세금을 통지하던 과거와는 달리 요즘은 세금을 고지하는 수단이 다양해졌습니다. 국세청은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이메일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세자들에게 세금을 내라고 통지하는데요. "세금 내야 하는지...
-
김지헌 기자
·
2022.12.26(월) 12:00
-
- 사회초년생을 위한 연말정산 설명서
- "연말정산, 그거 왜 하는 건데요?" 사회초년생이면 한 번쯤 드는 의문이죠. 이 의문은 월급명세서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해소됩니다. 직장인은 매달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세금을 떼인 후 월...
-
김지헌 기자
·
2022.12.21(수)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