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유튜브
  • 오디오클립
  • 검색

간이과세 or 일반과세, 뭐가 유리한가

  • 2020.07.15(수) 09:58

[간이과세가 뭔가요]②부가가치세부담 비교

간이과세는 부가가치세를 간소화해서 납부하도록 하는 제도여서 웬만한 창업자들은 사업자등록을 할 때 간이과세로 출발한다.

하지만 세무전문가들은 간이과세라고 해서 꼭 절세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간이과세가 기본적으로 부가세를 적게 내는 방식이지만 각각의 사업환경에 따라 일반과세가 더 유리한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간이과세와 일반과세의 차이를 좀 더 따져보자.

부가세가 10%인가 아닌가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가장 큰 차이는 세율이다. 대한민국 국민 누구에게나 부가가치세는 10%세율로 부과된다고 알고 있지만, 간이과세자에게만큼은 10%가 오롯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과세자는 매출의 10%가 매출에 대한 부가세이지만 간이과세자는 매출의 10%로 계산된 세금에 업종별로 정해진 부가가치율이라는 것을 한 번 더 곱한다. 

부가가치율은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 5%, 소매·음식점업 등은 10%, 제조업과 농·임·어업 숙박업 운수업 통신업은 20%, 건설·부동산임대업·그밖의 서비스업은 30% 등으로 구분된다. 

부가가치율을 곱할수록 결과는 줄어드는 구조여서 실제 적용되는 세율을 따지면 간이과세자의 부가세율은 0.5%~3% 사이로 10%보다 훨씬 낮다. 매출 1000원에 대해 일반과세자의 부가세가 100원이면 간이과세자는 5원~30원인 셈이다.

돌려받을 수 있나 없나

세율만 보면 간이과세가 무조건 유리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이 사업자들에게 선택의 고민을 안긴다. 부가가치세는 매출에서 10%를 그냥 뚝 떼어 내는 것이 아니라 매입할 때 부담한 세금을 빼고 내기 때문이다.

예컨데 100만원어치 구두를 판 구두가게 사장은 소비자로부터 10만원의 부가세(매출세액)를 받기도 하지만, 본인이 구두재료 50만원어치를 떼 오면서 재료업자에게 5만원의 부가세(매입세액)를 주기도 한다.

따라서 이 구두가게 사장은 10만원에서 5만원을 뺀 5만원만 세무서에 신고납부한다. 만약 재료값 외에 포장지값, 가게 운영비 등에서 지출한 매입세액이 더 있다면 실제 납부할 부가세는 더 줄어들어 때에 따라 오히려 돌려받는 환급이 발생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매출세액 10%를 정상적으로 부담하는 일반과세자에게만 허용된다. 간이과세자는 부가가치세 환급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초기 시설비 등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가 많은 사업자는 그에 대한 매입부가세가 커서 최종적으로는 환급을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간이과세보다는 일반과세가 유리하다.

또 간이과세자는 부가세 거래의 증빙이 되는 세금계산서를 발행할수도 없다. 증빙이 없으니 매입세액공제를 받는데 불리하다. 이에 따라 사업자간 거래가 많은 업종에서도 간이과세보다 일반과세가 유리하다.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

1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댓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