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유튜브
  • 오디오클립
  • 검색

재산 물려받은 사람은 용산에 많다…누가 살았길래

  • 2024.07.04(목) 09:44

'상속세 수입 현황' 빅데이터로 분석해보니

[이미지 출처: 택스워치]

서울 용산구, 그중 한남동과 이태원동 일부는 재벌과 갑부가 집중적으로 모여 산다. 부자를 꿈꾸는 이들의 로망인 곳이기도 하다. 부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세금도 이곳의 거주자들을 따라다녔다. 재산이 많을수록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속세 얘기다. 

하지만 부촌에 사는 이들에게만 상속세가 부과된 건 아니다. 세금 부담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전국에서 상속세를 짊어지지 않은 곳은 없었다. 전국 133개 세무서의 세수 실적을 분석, 어느 지역에서 상속세가 얼마씩 걷혔는지를 파악해 봤다. 

상속세수 30%, 용산서 채웠다…규모 더 커질수도

상속세는 세금 부담을 지는 상속인이 어디에 거주하든 관계없이, 피상속인(사망자)의 마지막 주소지 내 세무서에서 부과 권한을 갖고 있다. 만약 유족들이 연부연납 방식을 택했다면, 분납 세수도 피상속인의 최후 주소지 관할 세무서의 세수로 잡힌다. 

지난해 전국의 세무서가 거둔 상속세수는 8조5444억원이었다. 2020년에는 4조원(3조9042억원) 수준이었는데 2021년 6조9447억원, 2022년 7조6113억원을 기록하며 매년 늘고 있다. 이렇게 상속세수가 급증한 데는 삼성 일가가 고(故) 이건희 회장 유산에 대한 상속세를 납부하면서다. 이 사안에 밝은 한 세무사는 "삼성 총수 일가가 연부연납 방식으로 매년 2조원씩 내는 부분이 세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이 전 회장이 거주했던 지역 관할인 용산세무서에서는 작년 2조6274억원의 상속세를 거뒀다. 전체 상속세수의 30%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걷힌 곳이다. 삼성 일가가 상속세를 내왔던 2021년부터 2조원대 중반까지 치솟았는데, 직전 2020년엔 3881억원 수준이었다. 해당 세무사는 "한남동·이태원동은 재벌가가 둥지를 튼 만큼, 향후 그분들도 돌아가시면 (용산세무서에)상속세가 크게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세무서(서울 신사·논현·압구정·청담·역삼동 관할)에서는 8147억원이 걷히며 뒤를 이었다. 세수 상위 10곳으로 범위를 좁히면, 5곳(삼성·반포·잠실·강남·역삼세무서)은 강남에 거주지를 뒀다. 하지만 용산구에 세수가 몰렸듯, 강북 지역에서도 상속세를 많이 냈다. 평창동 부촌을 끼고 있는 종로구였다. 이곳 관할인 종로세무서의 상속세수는 2523억원으로 잠실·강남세무서(2517억원·2425억원)보다 많았다. 

서울·수도권 밖 지역에서 1000억원 넘게 세수가 걷힌 곳은 제주세무서(제주도 관할)와 김해세무서(경남 김해·밀양시 관할)였다. 국세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부자들이 많다고 인식되는 곳에 주소를 둔 사람들이 과세대상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어디든 냈다…가장 덜 걷힌 동네는

돈이 많은 일부 부자나 재벌들에게만 상속세가 부과된다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지난해 상속세 결정세액은 12조2901억원이었는데, '재산을 500억원 넘게 상속받은' 이들이 부담한 세액이 절반(6조5870억원)을 넘겼다. 과세 대상인 상속재산 가액을 50억원 이하까지 넓히면, 결정세액은 전체의 88%(10조8777억원)에 달한다. 

상속재산 가액으로 본 피상속인 수는 '20억원 이하' 구간이 8305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10억원 이하(5026명)'였다. 전국 133개 세무서 기준, 상속세가 걷히지 않은 데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영월세무서(강원 영월·정선·평창군 관할)는 전국에서 상속세수가 가장 덜 걷힌 곳이었으며, 규모로는 11억4600만원이었다. 그다음은 해남·영덕·남원·홍성세무서 등 순으로 나타났다. 

SNS 로그인
naver
facebook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