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젤투자는 투자금액에 대해 최대 10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파격적인 세제혜택이 있다. 하지만 투자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그림의 떡.
엔젤투자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엔젤투자 소득공제와 관련해 자주 묻는 질문과 그 해답을 정리했다.
Q 소득공제 증빙은 어떻게 하나
A 개인이 벤처기업에 투자한 자금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연말정산 소득공제 신청서에 벤처기업에 투자한 사실을 증빙하는 '출자 또는 투자확인서'를 첨부해야 한다.
Q 출자 또는 투자확인서는 어떻게 발급받나
A 개인투자조합은 투자조합에서 출자내역을 확인해서 받을 수 있고, 벤처기업 직접투자시에는 해당 벤처기업 등에 출자 또는 투자확인서를 요청해 받을 수 있다. 개인 투자자들이 확인서 발급을 요청하면 투자조합이나 기업에서 중소벤처기업부에 발급을 일괄요청해서 받아 전달한다.
Q 투자확인서 발급요건이 되는 투자란
A 기존 주주의 구주를 인수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는다. 기업이 자본금을 증자하기 위해 새로이 발행하는 주식, 무담보전환사채, 무담보신주인수권부사채를 인수하는 것이 해당된다.
Q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기한
A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한 과세연도부터 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하다. 출자한 그해부터 3년간 소득공제가 가능한데, 예를 들어 2019년에 출자했다면 2019년, 2020년, 2021년 중 한 번을 선택해서 소득공제를 신청해서 받을 수 있다.
Q 투자 기업이 벤처기업인지 확인하는 방법
A 벤처기업 확인서 사본을 통해 벤처기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벤처기업 유효기간(확인일로부터 2년) 내에 있는 기업은 벤처인(venturein.or.kr)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Q 투자 이후에 벤처기업이 된 경우
A 초기 투자를 할 때에는 벤처기업이 아니더라도 투자 후 3년 이내에 벤처기업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투자금액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단 2018년 1월 1일 이후 투자분부터 적용된다.